arduino11 아두이노 배터리 보호회로(BMS/PCM) 양부판단 테스트 지그 제작 2차전지를 이용한 DIY는 늘 불안합니다. 고집적 리튬배터리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스마트모빌리티가 대중화되고 이 배터리를 활용한 다양한 자작들이 많아지다보니 배터리로 인한 화재뉴스가 심심찮게 올라오는 현실입니다. 2차전지를 충전하다가 발생하는 화재는 충전기 불량보다는 과충전을 막아주는 보호회로의 문제가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드물지만 글로벌 1,2위 기업인 삼성이나 애플에서 만든 휴대폰도 충전하다 불이납니다. 하물며 100프로 페이크!! 카피칩을 사용하는 저렴한 중국회로를 사용하는 생활 DIY인들은 대안 자체가 없기에 자작하면서도 불안불안합니다. 그런데 그렇게 울며겨자먹기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중국산 보호회로를 제대로 테스트해보고 사용하시는 분도 극히 드뭅니다. 대부분 출력만 나오면 OK.... 사.. 2023. 6. 6. 아두이노 AC 오토스폿 회로 - 전자렌지 EI 트랜스 테스트 들어가면서... 전자렌지 EI 트랜스와 같이 스너버 회로에 의한 1차 권선 전압이 낮아 오토 센싱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테스트 환경을 꾸며봤다. 실 사용이 아니라 2차 권선을 보유한 16sq로 6바퀴를 감았는데 유도 전압은 4V대로 그럭저럭 테스트는 가능한 수준이다. 수지형 1.5K 링코어(트로이달 코어)에서는 스너버회로에 의한 전압이 160V가 넘지만 이 환경에서는 7V 밖에 나오지 않았다. 이게 주 원인인데 스너버 커패시티를 0.3uf로 늘리면 12V로 증가하는 건 확인했지만 트라이악이 오동작을 할 수 있어 0.2uf로 진행했다. 이 상태로 오토센싱 저항(R9)을 30K옴 정도로 낮추고 이후 모든 센싱 노이즈는 아두이노 스케치 즉 코드에서 보완수정했다. 테스트 동영상은 오토센싱 동.. 2021. 3. 1. 배터리 용량 테스터, 2nd 아두이노 정전류 방전기 (CPU쿨러와 인두기 케이스 활용) 들어가면서.. 지난 주 비교기와 파워 모스펫을 이용한 방전기를 만든 이후,, 카페 회원분이신 아이스커피님께 테스트 시료인 배터리를 지원 받았다. 원래는 하나 만들고 잘 쓰면 되는데,, 지원까지 받은 입장이라 방전기 하나로 테스트하기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고 판단, 회사에 두고 테스트 해 볼 생각으로 1호기보다는 조금 작은 사이즈로 또 하나의 방전기를 제작했다. 만드는 과정과 회로도는 이전 글을 참조하면 될 듯 싶다. 다만 이번 방전기를 제작하면서 적잖은 시행착오로 골치가 아팠는데... 배터리 연결이 없을 때 ADS1115에서 전압감지 핀에서 쓰레기값이 탐지가 되는 현상이다. ADS1115에서 탐지하는 시그널의 베이스인 그라운드와 배터리의 그라운드가 맞지 않아 발생한 증상으로, 전압측정 라인의 그라운드.. 2020. 7. 19. 개발자가 아닌 아두이노 스케치만 보드에 올려 사용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백서 - 아두이노 프로 미니 기반 HOWTO 입니다. 들어가면서.. 스폿용접기를 만들면서 아두이노를 처음 알게 되고, 그 가능성에 놀랐습니다., 이후 스폿회로를 시작으로 EMF 디텍터, 방전기, AC 릴레이타이머 등등 거의 대다수를 아두이노 프로 미니 기반으로 작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두이노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이런 배포된 스케치 파일을 사용하고 싶어도 이런저런 자료를 찾아 공부할 생각에 머리가 아파옵니다. 개발과는 상관없이 이미 배포된 스케치파일을 그대로 아두이노 보드에 올리는 데에도 진입장벽이 분명 있습니다. 특히 전기/전자 기기들은 뚝딱뚝딱 고치시는 분들도 소프트웨에라고 하면 손사례를 치시는 분들이 적잖습니다. 하여,, 개발자가 아닌 스케치파일을 아두이노에 업로드만을 위한 사용자들을 위하여,, 꼭 필요한 절차를 Step by Step 형식으로 .. 2020. 7. 11. 아두이노 AC 릴레이 타이머 인터벌기능 추가 및 Arduino 스케치파일 공유합니다. 들어가면서 며칠 전 주문한 AC 릴레이가 도착하여 코딩을 시작 후 목업제품을 만들어 보았다. 처음엔 단순하게 타이머기능만 있었는데 결과물이 실사용에 무리가 없어 소스를 다듬어 누구나 쉽게 따라 만들 수 있도록 소스를 공개한다. 아두이노 공부 혹은 조금 수정하여 자기만의 타이머를 만들 경우가 아니면 기성품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1차 공개된 작업로그에는 없던 인터벌 기능이 추가되었다. 인터벌 기능은 ON/OFF를 설정한 카운트만큼 반복하는 기능으로,, ON/OFF 시간, 카운트 값을 모두 설정가능하다. 또한, 인터벌 기능이 추가되면서 추가 액션이 필요해 엔코더 회전에 기능을 심어 처리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조작방법을 참고 준비물 아두이노 프로미니(Arduino Pro mini) LCD Display.. 2020. 3. 25. 아두이노 전자파 측정기 Arduino EMS Detector 만들기와 전기장 측정을 위한 회로도 및 스케치 파일 공유 우연찮게 보고 만들어보고 싶어 제작해보았다. 전자파는 일반적으로 전기장과 자기장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자기장이 인체에 위해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 회로도는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전기장을 탐지해서 최소한의 부품으로 A0 핀을 통해 시그널의 강도를 측정하는 도구이다. 전기장과 자기장은 친구라 전기장은 자기장을 유도하고 자기장은 전기장을 유도하고 뭐 그런 관계인것 같다. 자세한 것은 비전공자라 뭐 이정도까지만,,, 일단 사용한 부품은 다음과 같다. 아두이노 프로 미니 : 1개 OLED-091 : 1개 10KΩ 저항 : 1개 220Ω 저항 : 1개 LED 5파이 붉은색 : 1개 Passive Buzzer (수종 피에조 부저) : 1개 안테나 : 1개 (스마트폰에 꽂아서 사용하는 안테나는 사용했다.) DC잭 : 1개.. 2019. 12. 21. 리튬이온 18650 배터리 내부저항 및 방전 테스트를 위한 체커 회로도와 아두이노 스케치 파일 공유 들어가면서.. 앞서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18650 배터리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회로도와 스케치파일을 공개했는데 이번엔 그 소스를 베이스로 방전기능을 추가했습니다. 내부저항은 배터리의 노후정도를 가늠하는 목적이고 실제 방전시험을 을 통해서 배터리의 용량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는 배터리가 실제 부하를 물리면 전압이 급격하게 떨어져 종지전압 밑으로 떨어지고 부하가 없으면 또 급격하게 오르는 것들은 방전 테스트를 해봐야 확실하게 구분이 가능합니다. 리셋(푸시)스위치를가 하나 추가 되었고, 기존에 사용된 10W/10Ω의 시멘트 저항은 방전 전류값이 낮아서 2배 이상 빠른 방전을 위해 낮은 5W/3Ω으로 교체했습니다. 부하저항의 저항치를 낮추면 방전전류가 높아져 그 만큼 방전 속도가.. 2019. 10. 10. AC 오토 스폿용접회로 개발 히스토리 및 펌웨어 다운로드 페이지 (For AC Auto Spot Weldering) by 후니파파 ino Pro mini sketch source for AC Auto Spot Weldering출처: https://mindeater.tistory.com/2327 [MindEater™ - Life Sketch] AC 오토스폿 회로도지금까지의 아두이노 스폿회로의 컨트롤 방식과의 차별화 및 안정성 출력향상를 위한 HW의 수정사항!! 2023년 10월 PCB 수정에 맞춰 펌웨어 V4.0릴리즈 MCU Atmega328P U 기반MOC3021 컨트롤 방식 변경 (Sink IO 방식 채택)부저 보호용 다이오드 추가업그레이드 핀추가 PCB설계후 제작하 첫 스폿 회로 자동 스폿 개발 히스토리 2019년 8월 현재까지 수동 방식을 지원하는 회로와 다소 버그는 존재하지만 실 사용이 가능한 다수의 소스가 D.. 2019. 8. 27. 배터리 양부판단 지그, 18650 리튬이온 아두이노 내부저항 테스터기 만들기 - 완성편 주말에 급하게 필받아 만들어본 배터리 내부저항값을 이용하여 양부판단을 위한 일종의 지그다. 18650 배터리 홀더를 이용하였고, 최대한 케이블 저항을 줄이기 위해 신경써서 제작해보았다. 결론부터 말하면 자작 테스터기로서 정밀도를 논하기는 좀 그렇고,, 그럼에도 나름대로 데이터가 쌓이면 충분히 활용할만한 수준인 듯하다. 다만,, 바나나잭을 이용한 측정은 비추천이다. 준비물 인클로저 : 구형 아답터 케이스 만능기판에 자작한 아두이노 회로 18650 배터리 홀더 전원 공급을 위한 DC잭 바나나잭(옵션) 스위치 케이스 가공 엔클로저는 배터리 홀더가 올라갈 정도의 딱 알맞는 아답터를 케이스를 이용했다. 구현 아답터라 나사로 개폐가 가능해서 작업이 쉽고, 아두이노 스케치 파일을 쉽게 업로드 할 수 있다. 아답터 위.. 2019. 8. 26. 아두이노 리튬이온 배터리 내부저항 테스터기 만들기 - VCC값을 반영한 아두이노 스케치, 부저 추가 들어가면서... 중고 리튬이온 배터리를 많이 사용하는 데 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여 사용가부를 결정하는 작업이 대단히 번거롭고 오래걸린다. 일단 만충후 발란싱 작업을 거쳐 한달 이상을 숙성시켜서 자연드롭이 없는 배터리를 골라낸다. 가장 최소한의 작업이다. 하지만, 그렇게 정상적인 배터리라고 판단을 했던 배터리라도 실제 부하를 물리면 문제가 되는 배터리가 종종 나온다. 이러한 번거롭고 지리한 작업을 빠르고 쉽게 해주는 것이 방전테스트와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일이다. 보통 배터리는 출고시 내부저항값이 스펙에 준하는 값으로 되어 있는데,, 사용하면서 다양한 이유로 이 값이 증가하고, 발열과 효율에 영향을 미친게 된다. 약간의 이론 이론적이라면 배터리의 전압은 순수하게 배터리가 저장하고 있는 에너지(V_OC)를 그.. 2019. 8. 25. 3K 링코어 AC 오토스폿용접기 자작 회로를 이용한 제작기 - 아두이노 스케치 파일 커스텀 버전 소개 들어가며... 이미 스폿용접기를 제작 보유하고 있지만, 스폿 원리와 회로에 대한 호기심으로 결국 아두이노 소스를 다듬어 나만의 스케치를 만들게 됐다. (본 글 하단 참고) 스폿용접 회로도와 아두이노 소스는 이미 많이 알려져 있고 대다수 쉽게 제작할 수 있으나, AC '오토스폿'에 대한 원리나 구현방법에 대해서는 공개되지 않았다. 관련이야기는 스케치 공유 글에서 이어가기로 하고 여기선 오토스폿을 테스트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던 3K링코어로 제작한 로그를 올려본다. AC오토스폿회로를 키트와 완제품형태의 분양은 아래 관련글 참고!! 제작 로그 이 링코어가 조금 특이한것이 1번부터 시계방향으로 탭간 저항이 증가한다. 일반적인 링코어라면 저항값이 가장 높은 3번이 맨 끝지점으로 1번과 3번에 220V를 인가하면 큰.. 2019. 8.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