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ume Extractor2

3D 프린터를 이용한 납 흡연기 시스템 최종 완성 - STL 파일 공유 이전 글에서 납흡연기를 디자인해서 제작했다. 그런데 비트코인 채굴용 팬이 RPM이 높아 자바라를 연결하면 거의 완벽한 모습을 갖추지 않을까 싶었고, 카페에서 후드 아이디어를 얻어 재 디자인을 해보았다. 1차 완성의 본체에 앞쪽 에어후드와 뒤에 자바라를 연결할 수 있는 덕트 어댑터를 퓨전360을 이용하여 디자인한 모습이다.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에 조금씩 적응중인데 느려도 결과물을 보면 성취감이 대단한 듯 싶다. 그렇게 디자인한 모델을 3D 프린터 "플라잉베어 고스트5"를 이용하여 출력했다. 후드를 저녁에 자기전 걸어두고 아침에 일어나서 확인했는데... 네 귀퉁이에 이런 요상스런 불량이 발생했다. 실패!! 그래서 원인검색에 들어갔고, 대충 수정해줄 수 있는 부분은 모두 적용해서 2차 출력!! 성공이다. 몇 가.. 2021. 10. 9.
3D 프린터 두번째 작품 - 포터블 납 흡연기 (Fume Extractor) 개요 무작정 3D프린터를 사고 갈갈이에 이은 두 번째 모델링 및 출력 작품이다. 배터리를 다루는 생활 자작인들이 필요한 것 위주로 난이도에 맞추어 따라가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모델링 프로그램은 퓨전 360을 이용하고 있는데 기본적인 것 위주로 유투브를 보며 익혔지만 아직 인터페이스에 서툴러 쉬워보이는 작업도 더디고 진행되고 있다. 이렇게 하나씩 만들어나가다보면 조금씩 나아지지 않을까 싶다. 그나저나 두 번재 작품치고는 꽤 마음에 든다. 출력물의 결과가 아니라 흡연기로서... 말이다. ^^ 사진의 우측이 첫 번재 출력이고 좌측이 아래 컨트롤 박스를 조금 늘려 배터리 작업이 쉽도록 한 수정본이다. 물론 서포트 옵션을 조금 조절했지만,, 디자인 자체가 서포트가 필수라 좋은 디자인은 아니고 게다가 큐라 설정.. 2021. 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