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5

[서평] 권비영 작가님의 조선의 마지막 황녀 <덕혜 옹주>를 읽었습니다. ^▽^)/ 덕혜옹주 권비영 지음/다산책방 권비영 작가님의 첫 소설 를 감사하는 마음으로 읽었습니다. 이 책속엔 비운의 삶을 살다간 대한 제국의 마지막 왕녀, 고종의 막내딸 덕혜옹주의 이야기가 오롯이 담겨 있습니다. 일주일 동안 마지막 왕녀인 덕혜옹주와 함께 슬퍼하고 끓어오르는 분노를 삭이며 지낸 것 같습니다. 마지막 책장을 넘기고 난 후 마음을 추스렸고 곧 진실과 허구의 경계를 나누기 시작했습니다. 정신병원을 탈출하는 장면과 복순이의 이야기 그리고 박무영등의 인물에 대한 묘사에 대해서는 팩트와는 거리가 있다고 합니다. 무영과 복순이의 굴곡 없는 내리막길 같은 삶에도 관심이 많았는데 허구라고 하니 적잖이 아쉽습니다. 그렇게 허구를 걷어낸 후 덕혜옹주에 대해 팩트 위주로 정리를 해봅니다. 이 책은 소설의 재미보다는 덕.. 2019. 1. 10.
[서평] 세계사의 질펀한 뒷담화로 현실 꼬집기 - 박쳘규의 <책 밖으로 나온 바람난 세계사>, 팬덤북스 책 밖으로 나온 바람난 세계사 박철규 지음/팬덤북스 참 아이러니합니다. 고전의 그윽한 향기 전혀 느낄 수 없는데 이 책! 재미있으니 말입니다. 처음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무거운 역사책으로 넘어가기 전에 가벼운 마음으로 세계사에 대한 관심을 키우고자 함이었습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무거워지면 그냥 미련없이 덮자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책장을 넘기니 삐뚜름(?)하고 직선적인 글 본새에서 느껴지는 다소 냉소적이고 어두운 이야기들의 연속입니다. 그리고 이내 그 이야기 속에서 허우적거립니다. 한 호흡에 제법 많은 글이 읽혀 답답할 정도입니다. 사람은 냉소적인 글을 읽게 되면 일단 반대하고 보는 심리가 있나 봅니다. 반대편에 서서 그 이유를 합리화하려는 것... 인지 부조화로 설명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 2019. 1. 10.
[서평]《역사 ⓔ》 - 세상을 깨우는 시대의 기록, 기억을 기억하라!!! 역사 ⓔ EBS 역사채널ⓔ.국사편찬위원회 기획/북하우스 "기억을 기억하라." "과거를 기억하지 못하는 이들에게 과거는 반복된다." - 조지 산타야나(미국 철학자) 이 책을 읽으면서 행실이 나쁜 여인은 '화냥년'이라고 함부로 욕했던 시대의 뒤안길에서 전쟁의 희생물이 되었던 여인들의 통곡이 '일본군 성노예제' 패해 할머니들의 통곡으로 이어짐을 보았고, 고기는 좋은 데 백정을 싫어했던 양반네들의 이야기를 들었으며, 1942년, 한 유대인 소녀의 기록과 1960년 서울, '여고생의 일기' 그리고 1980년 광주, 한 여고생의 시사 노트에 담긴 의미를 되새겨 보는 시간 또한 이 책은 선물해주었습니다. '동학농민혁명'과 "임오군란도 갑신정변도 청군을 끌어들여 진압했"듯이 농민군 진압을 위해 청에 손을 내민 아~ 무.. 2018. 12. 29.
[서평] 김훈 《남한산성》 - 내 약소한 조국의 길... 김훈 지음/학고재 1616년 누루하치가 후금을 세우고 칸으로 우뚝 섰고 그로부터 20년 후 아들 홍타이지는 국호를 청으로 바꾸고 황제의 자리에 오릅니다. 화친을 거부하고 숭명배금을 고수한 조선이 괘씸하고 명을 치기 위해 산해관을 넘을 때 배후를 칠 수 있다고 여긴 홍타이지는 중국 통일을 이루기에 앞서 조선을 복속시키기 위한 전쟁이 이른바 병자호란(丙子胡亂)입니다. 청군이 얼어붙은 압록강을 건너자 인조는 세자와 함께 남한산성으로 들어갔고 두 달 만에 스스로 걸어 나와 홍타이지 앞에 무릎을 꿇고 호령에 따라 세 번 절하고 아홉 번 땅에 머리를 조아리는 삼배구도구(三拜九叩頭)를 행합니다. 조선 역사상 가장 뼈아픈 패배이며 세계사에서도 보기 드문 치욕입니다. 인조가 청나라 황제 홍타이지에게 항복하는 장면, ht.. 2018. 12. 29.
이폴리트 바야르(1801~1887) - 익사자의 자화상 그리고 씁쓸한 역사!! 이폴리트 바야르의 「익사자의 자화상」은 시끌벅적했던 사진의 태동기를 증언한다. 또 그 신기술로 특허를 따려던 발명가들은 치열한 싸움도 환기시킨다. 바야르는 이 사진은 이면에 이렇게 적었다. 2012.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