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Sketch

[서평] 김영하 《검은꽃》- 신기루와 같은 "검은 꽃"은 지고, 멕시코 이민사에 아로새겨진 역사적 사실만...

글: HooneyPaPa 2018. 12. 29.
반응형

 

 

검은 꽃
김영하 지음/문학동네

 

 

 

시간을 거슬러 을사(乙巳, 1905)년으로 갑니다. 이완용을 중심으로 한 오적은(五賊) 일본과 늑약(勒約)을 체결하고 나라를 팔아먹습니다. 망국의 슬픔을 달랠 길 없었던 몇몇 선비는 살아짐을 포기하고 저수지에 몸을 던졌고 뜻있는 사람은 만주로 향합니다. 이 때 타국의 배에 몸을 싣고 이역만리로 떠나는 배에 몸을 실었던 사람들이 있습니다. 김영하는 이 사람들을 쫓았고, <검은 꽃>은 제물포를 떠나 지구 반대편 멕시코를 거쳐 마야 유적지, 밀림에서 증발해버린 사람들에 대한 역사를 증거합니다. 한국의 아픈 역사이면서 이들 1,033명과 그들의 후손들 즉 "애니깽"의 역사입니다.

 

<영국 상선, 일포드(IIford)호>

 

이민 브로커의 사기에 속아 일포드호에 올랐던 1,033명의 한인은 멕시코 에네켄 농장으로 뿔뿔이 흩어져 4년 동안의 노예 계약을 하게 됩니다. 작가는 그들 1,033명의 역사적인 사실 속에 다양한 출신 성분의 가상 인물을 설정하고 그들의 행보와 함께 합니다. 

 

무역관의 아들로 물려받은 재산을 모두 홍등가에 탕진하고 이민해선 통역을 무기로 동료들 위에 군림하다 여자에 눈이 멀고 결국 매음굴로 들어간 권용준. 고종 황제의 사촌으로 일은 않고 시종일관 논어만 읽었던 이종도와 가족을 위해 홀로 일하면서 권용준의 권력을 탐냈던 아들 이진우, 사향 내음으로 적잖은 남자 편력을 보인 이종도의 딸 연수, 도둑질하다 얼떨결에 멕시코 이민까지 가게 된 기회주의적인 인물 최선일, 한국의 샤머니즘 박수무당, 내시 김옥선, 신부 바오로, 퇴역군인, 그리고 동학혁명에 휩쓸려 부모를 잃고 보부상에 끌려다니다 탈출하여 결국 배에 오른 김이정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간 군상의 소세계를 구축합니다.

 

 

<에네켄 농장의 한인 노동자>

 

멕시코 근대사가 소용돌이 속에서 작가가 세운 소세계는 과테말라의 밀림 속에서 꿈꿨던 신대한(新大韓)으로 귀결됩니다. 밀림 속 띠깔에 세운 신대한은 결국 이루지 못한 채 소설을 끝을 맺습니다. 한인 용병은 동상이몽 속에서 띠깔에 왔지만 나라 잃은 설움과 독립이라는 전제로부터 귀결된 신대한은 이룰 수 없는 꿈이었음을 죽기 전 내시 김옥선의 피리 소리에 실어 보냅니다.




사는 것은 고통이라고 흔히들 말합니다. 생채기 없이 살아가는 사람이 없다는 방증입니다. 살아간다는 것과 살아진다는 것 사이에 자리 잡고 있는 고통은 서로가 자기 것이라고 우깁니다. 그래서 삶아감과 살아짐의 경계는 모호해지고 고통만 남습니다. 맞습니다. 사는 것은 고통입니다. 김이정을 비롯한 이민자들의 삶은 평탄치 않은 내리막길을 달려갑니다. 가진 게 없어 새로운 희망을 품고 도착한 이국땅에서 죽지 못하여 살아가는 고통의 인생입니다. 아귀처럼 벌어 조선으로 돌아가겠다는 다짐도 나라가 망하고 물거품이 됩니다. 그런데 이들의 고통은 인내의 범주 안에 머뭅니다. 혼자만의 고통이 아니라 함께 배를 탄 사람들의 고통이기 때문이고 손에 잡히지 않는 신대한의 꿈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초중반 등장인물의 질곡진 삶에 초점을 맞추었다가 후반부의 휘몰아치는 전개로 띠깔까지 이르는 과정이 주는 느낌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등장인물들의 덧없는 죽음 앞에서 독자는 담담합니다.

 

 

<검은 꽃>은 유토피아,  미지의 영역!!

 

 

“검은 꽃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꽃이죠. 검은 색은 모든 색이 섞여야지만 가능한 유일한 색으로 남녀노소, 계층, 문화, 인종을 뛰어넘는 그 무엇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죠. 그런 의미에서 꽃이라는 것은 유토피아적 의미를 담고 있다고 봐야겠죠.”

[발췌] 한국작가 김영하 『검은 꽃』으로 함부르크와 만나다.

 

작가가 직접 이야기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작가가 만든 소세계는 신대한으로 귀결되는 데 국가의 존재와 나라를 잃은 사람들이 생각한 이상적인 국가의 모습은 유토피아적인 신기루에 지나지 않음을 역설합니다. 존재하지 않는 "검은 꽃"은 신대한의 국화로 어울린다는 덧없는 생각을 보탭니다.



그럼에도 책을 덮은 지 한참이 지난 지금 손에 잡히지 않은 <검은 꽃>은 지고, 멕시코 이민사에 아로새겨진 역사적 사실만 남습니다. 숨어있던 고통의 역사입니다. 역사는 그 자체로 아픕니다. 고통의 기록이며 죽음의 기록이기 때문입니다. 작가 김영하에게 박수를 보내며 보다 많은 작가가 근대사 특히, 광복 전후를 이야기해주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람을 더합니다. 거대 악 일본이 물러나자 거대 형님 미국에 지배를 약속받은 3.8선 아래의 작은 땅덩어리의 위정자들에 의해 꼭꼭 숨겨진 대한민국의 근대사를 끄집어내는 일은 몇 곱절의 고통과 용기를 수반되는 작업이 될 것 같습니다.

 

선선함을 선물해 주었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이후 세 번째로 펼쳐 든 김영하의 책을 이렇게 마무리합니다. 정리가 안 되어 이렇게 끼적이기도 쉽지 않네요. 며칠 전부턴 『남한산성』을 거슬러 올라가고 있습니다. 김훈이 안내합니다...

 

 

+
2013년 10월 3주 <반디 & View 어워드> 선정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