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ot Welding/AC Spot Welding

AC 스폿용접기 처음보다 스폿강도가 약해진 경우 점검 포인트!!

반응형

 

 

들어가면서...

 

스폿용접기를 성능이 처음 제작할때와 비교하여 약해질 때가 있습니다. 심할 경우 미약하게 '틱!'하는 느낌은 있는데 용접 자체가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 점검해볼 수 있는 포인트를 정리해 봅니다.

 

국내 아두이노 스폿용접 회로는 220V를 컨트롤 하는 타이머 스위치이고 트랜스가 연결된 대기 상태에서 입력이 220V이고 출력이 80~180V 사이로 입력보다 낮은 전압이 측정되면 정상이고 입력 전압과 완전하게 동일하면 트라이악 파손이라 고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회로 검증은 변압기 대신 백열전구를 연결했을 때 무조건 켜지거나 수동 스폿시 켜지지 않으면 고장입니다. 국내 회로의 경우 서지 보호장치가 있기때문에 실장된 BTA41이 정품이라면 손상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회로점검 포인트는 따로 시간을 들여 작성하도록 하고 이하 회로가 정상 동작한다는 가정하에 성능 하락을 영향을 주는 체크포인트를 정리해봤습니다.

 

사실 평소에는 굳이 이렇게 하나씩 뜯어볼 필요는 없지만 힘들게 제작한 스폿기가 갑자기 잘 안될경우에는 막막해질 수 있기때문에 문제시 점검포인트로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스폿용접기 점검 포인트

 

 

<그림 1>

 

 

  1. 크레토스 핸들과 용접선 연결 부위
    개인적으로 아래 2번과 함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 넘칠정도로 납물 보강


  2. 용접봉과 용접선 연결부위
    > 넘칠정도로 납물보강


  3. 크레토스 용접핸들 접촉 부위
  4. 크레토스 용접커넥터 암단자 접촉 부위
    3번과 4번은 용접커넥터 암수가 서로 결합하여 접촉하는 부분입니다.

    공기 접촉이 많아지면 표면이 산화되어 저항이 증가할 수 있으니 평소 빼두는 것보다 결합한 상태로 보관하는 것을 추천하고 너무 저렴한 중국산 가품은 접촉도가 떨어져 성능하락을 가져온 사례가 있으니 가급적 핸들에 CRETOS가 마킹되어 있는 정품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알콜이나 접점부할제로 표면 세척


  5. 2차 권선 링단자와 크레토스 연결부위
    이 부분을 결합이 풀려 니켈 0.2t 이상에서 성능하락을 가져온 사례가 있습니다.
    > 최대한 접촉부가 넓게 너트를 적절히 조절하고 최대한 조여줌


  6. 2차권선 끝 링터미널 연결부위
    납이 구리보다 전기 저항이 높아 압착기만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납물보강이 체감할 정도의 성능하락을 가져오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제대로 접촉이 안되었을 경우 저항치때문에 발생하는 손실이 더 큽니다.

    > 압착기 사용
    > 압착기가 없다면 망치로 두드린 후 납물로 보강


  7. 링코어에 감긴 2차권선이 느슨해졌는지
    > 최대한 밀착 (재작업이 가능하면)

  8. 터미널 보다는 케이블 심선을 U자 형태로 납물을 먹여서 최대한 조여주기
    Y나 링터미널 연결 보다는 전선에  납물로 조금 보강을 한 후 직접 연결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링코어 1차도 마찬가지로 U자로 구부려서 터미널에 연결, 연결부위 에나멜 코팅이 충분히 벗겨졌는지 확인

  9. 너무 얇은 전선이나 노후화된 전선을 사용했는지 (20A 정도까지 커버할 수 있는 두께, 2.5sq)
    전선의 허용전류를 계산하여 코어에 충분히 전류가 공급되도록 선택하셔야합니다.
    또한 중고 전선을 재활용시 피복을 벗겼을때 심선에 열화가 없는 깨끗한 전선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0. 15A 이상 가급적 새제품을 사용
    높은 전류의 차단기를 사용해도 되지만 집 두꺼비집보다 큰 허용전류를 사용할 경우 배선차단 효과는 없어지고 단순하게 스위치 역할만 하게 됩니다. 가급적 코어 전력을 계산해서 두꺼비집과 같거나 한 단계 아래의 차단기를 사용하시고, 간혹 너무 오래된 스위치를 사용시 내부 접접이 산회되어 충분한 전기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11. 소켓과 케이블 연결부 체크
  12. 3K급 이상에서는 15A 이상의 케이블인지..
    컴퓨터 케이블을 종종 사용하는데 실제 심선이 매우 얇은 저가 케이블이 많으니 체크해보셔야합니다.

 

 

용접봉을 2차 권선에 직결할 경우 1, 3, 4, 5, 6번이 사라지기 때문에 전자렌지 EI와 같이 성능이 떨어지는 변압기의 경우 2차 권선을 용접봉까지 빼서 작업하기도 합니다.

다만 제작이 번거롭고 미관상 마감이 어렵기 때문에 크레토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미관보다는 성능이 우선이다라고 생각하면 크레토스 용접커넥터를 사용하지 않고 직결하시는 것이 성능하락을 막을 수 있습니다.

링코어 1.5K 이상을 사용하면 출력자체가 높기때문에 성능하락을 감안하더라도 일정 수준의 품질을 보장 받을 수 있습니다.

링코어의 2차권선부 (1~7번)이 220V 고압부에 비해 더 민감하게 반응하니 우선적으로 점검해보시면 될 듯 합니다. 그 밖의 다른 변수가 있을 수도 있겠으나 현재 생각나는 포인트는 이 정도입니다.

 

 

 

 

 

추가 설명

 

위 체크리스트를 살펴보고 보완하는 이유에 대해 원론적인 이유를 쉽게 설명 해보고자 그림을 하나 그렸습니다.

 

<그림 2>

 

 

스폿용접이 동작하는 순간은  2차 권선이 쇼트(Short) 상태이므로 출력을 링코어대신 백열전구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백열전구는 매우 짧은 순간 흐르는 전기에도 반응하기때문에 실제 초기 회로 설계단계에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용접 쇼트지점 포함하여 체크리스트 모두 접촉 저항이므로 저항 기호로 표기했습니다.
쇼트구조에서 중간중간 저항들이 있고 그 중 저항이 가장 높은 지점에서 대부분의 전력이 열로 변환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1번
백열전구 필라멘트가 저항이 가장 커 대부분의 전력이 팔라멘트에서 열로 변환되고 나머지는 매우 적어 무시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2번
대전류(스폿전류 2~300A)가 흐르면서 접촉지점에서 발생하는 열이 지날수록 증가 저항치가 커집니다.

3번
간혹 접촉부가 열에 의해 심하게 변형(열화)되면 저항치가 스폿지점보다 더 커져 대부분 에너지가 그 곳에서 열로 소진될 수 있습니다. 사례상 용접선 접촉부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크레토스 단자와 용접선 연결부위가 부실하게 연결된 경우 대전류가 통과하면서 그 부분에 열이 발생하고 점점 그 양이 증가해 급기야 용접 포인트가 아니라 이 부분에서 대부분의 전력이 열로 변환됩니다. 이 경우 경험상 '틱' 하고 스폿이 되는 느낌은 있지만 실제 스폿은 안됩니다.

 


이를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은 처음 제작후 용접봉 사이에 저항을 기록해두었다가 사용하다가 성능하락이 느껴질때 다시 저항을 재어보면 그 진행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그 밖의 성능향상팁은 아래 관련글을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하고, 궁금한 점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면 시간나는대로 아는 범위에서 점검 포인트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C 오토스폿회로 분양 페이지

 

 

AC 오토 스폿용접 회로 리뉴얼 버전 분양시작!! ^▽^)/

작년 말에 리뉴얼을 마음먹고 PCB 작업을 했습니다. 올해 초 마무리 되었고 충분한 검증을 쳐서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어 배포를 시작합니다. https://mindeater.tistory.com/2525 2022년 AC 오토스폿회로 리

mindeater.tistory.com

 

 

 

 

스폿용접 관련글

 

 

스폿용접이 잘 안될때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팁!? - 엔지니어링 저널 기고문 참고!!

네이버 다이홈 카페에서 정보를 얻고 테스트 해보니 의미있는 결과가 있어 구글링한 내용을 정리해서 공유해봅니다. 이미 일부 상용배터리팩에는 적용되어 있는 방법이라 많은 분들이 아시면

mindeater.tistory.com

 

알리발 스폿용접회로와 분양중인 아두이노 회로의 타임계산법

알리 회로를 사용하다 국내 회로로 바꾸시는 분이 많은데 간단하게 정보차원에서 국내 회로와의 동작에 대한 비교글을 써봅니다. 알리 판매페이지에서 사진을 하나 가져왔습니다. 일단 세븐세

mindeater.tistory.com

 

AC 스폿용접기 제작과 성능 - 링코어 2차 권선 전압과 굵기에 대하여!!

생활 DIY에 필요한 전기/전자 잡(?)지식을 조금씩 주어 들은지 두 해가 흘렀고, 돌이켜보니 스폿용접기 제작이 그 시작인 듯 싶다. 스폿용접기는 총 10대를 제작했으며,, 3호기부터는 불편한 점을

mindeater.tistory.com

 

수지1.5K AC오토스폿용접기 의뢰품 제작 로그 및 관리 페이지 (0468님)

2021년에 제작을 마지막으로 쉬다가 최근 변압기를 하나 구했는데 마침 의뢰가 들어와 제작해 들어갔습니다. 오랜만에 만드는 거라 힘은 좀 들고 시행착오도 있었지만 나쁘지 않은 결과물이라

mindeater.tistory.com

 

 

 
반응형


Recent Posts
Popular Posts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