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 지음, 박병덕 옮김/민음사
"이보게, 고빈다, 내가 얻은 생각들 중의 하나는 바로, 지혜라는 것은 남에게 전달될 수 없는 것이라는 사실이네. 지혜란 아무리 현인이 전달하더라도 일단 전달되면 언제나 바보 같은 소리로 들리는 법이야"
이성이 인성에 비례하지 않고 지식이 지성이 비례하지 않습니다. 아마도 이것이 불가의 가르침의 핵심일 것입니다. 이러한 진리를 이야기하고자 헤르만 헤세는 석가모니 싯다르타를 이야기합니다. 석가모니에 대해서 서양 사람이 얘기를 하는 것이 그리 놀랍지는 않습니다. 어디든 사람 사는 곳이니 말입니다. 일본 연구의 고전 《국화와 꽃》의 저자 루스 베네딕트라도 미국 사람이고, 고산자의 김정호도 세상 밖으로 밀려나서야 비로소 세상을 볼 수 있었으니 어쩌면 비슷한 맥락에서 볼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이 책 《싯다르타》는 여타 싯다르타를 다루는 책과는 조금 괘를 달리합니다. 더구나 어려운 불교용어도 찾아볼 수 없고 쉽게 읽힙니다.
"헤세가 부처 석가모니의 전설에서 그의 이름 싯다르타와 줄거리의 세세한 부분, 그리고 해탈과정을 그대로 재현시키면서도 싯다르타의 세속 생활을 삽입하는 것은 관조적인 삶vita contemplativa과 실제적 삶 vita activa을 대비시키면서 인간 존재에 놓인 양극성, 즉 사유와 감각, 정신과 욕망의 배후에서 탐구되는 단일성이 어는 한쪽에 편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라고 작품 해설에 적고 있습니다.
어려운 해설이지만 헤세가 굳이 그려낸 세속의 생활이 눈에 들어옵니다. 세속의 생활은 이성적 깨달음의 영역입니다. 직접 경험하지 않고 '문득' 깨달음을 얻는다는 것은 서구 사회에서는 용납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단적인 예로 전설의 동물 용(龍, dragon)을 표현하는 방법을 보면 동서양의 차이가 극명함을 알 수 있습니다. 날개 있는 서양의 용은 이성의 산물이고 날개 없는 동양의 용은 감성의 산물입니다. 날개 없이 나는 용을 서양식 사고에서는 생각할 수 없었을 겁니다.
덕분에 서양인 헤세의 싯다르타는 동양의 우리와 좀 더 친근하니 아이러니합니다.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다가 카밀라를 만나 그녀한테서 사랑의 쾌락을 배웠으며, 카마스와미한테서는 장사하는 기술을 배웠으며, 돈을 모았으며, 돈을 물 쓰듯 쓰고 다녔으며, 나의 위(胃)를 사랑하는 법을 배웠으며, 나의 관능적 감각들에 아첨하는 법을 배웠"기에 싯다르다는 한 때 범인과 다르지 않았고, 범인을 이해했으며 그 이해를 넘어설 수 있었다고 보는 것 말입니다.
싯타르타는 아들 때문에 상처를 입는데 깨달음을 눈앞에 둔 싯타르타에게 속세의 연이 이어져 아들에 대한 번뇌로 잠 못 이루게 되는데 성인으로 묘사된 뱃사공 바주데바와의 대화가 잔잔하게 마음을 울립니다.
도대체 당신이 무슨 능력으로 당신 아들을 윤회의 소용돌이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다는 겁니까? 도대체 어떻게 그렇게 할 수가 있지요? 가르침을 통해서, 기도를 통해서, 훈계를 통해서 그럴 수 있다는 겁니까?
.......
바 주데바가 자기에게 하였던 말 가운데 자기 스스로가 이미 생각하여 보지 않았거나 알지 못하였던 말은 하나도 없었다. 그러나 그것은 자기가 실천으로 옮길 수 없는 그런 앎에 불과하였다. 그러한 앎보다도 자기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더 강하였으며, 그러한 앎보다도 자기의 자식에 대한 정이, 자식을 잃게 되지나 않을까 하는 자기의 불안한 마음이 더 강하였던 것이다. 167-177쪽
싯타르타는 집을 떠난 아들에 대한 사무친 그리움으로 커다란 상처를 받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문득 강물에 비친 자신의 얼굴을 보게 됩니다. 거기서 싯타르타는 바라문이었던 아버지의 얼굴을 보았습니다. 자기 때문에 지금 자신의 상처와 똑같은 고통을 받았을 아버지를 생각하자 다람쥐 챗바퀴를 돌듯 숙명적인 순환과도 같은 윤회를 깨우치게 됩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석가모니가 윤회를 벗어나 깨달음으로 나아감에 해세는 아버지와 아들의 연을 이야기한 것입니다. 여담이지만 문득 이상의 오감도(烏瞰圖)가 떠오르기도 합니다. 나의 아버지의 아버지의...... 돌고 도는 인생 말이죠..^^
이 책을 통해서 헤세가 말하고 싶은 것은 깨달음도 윤회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는 것도 아닐 것입니다. 서두에 친구 고빈다에게 한 말처럼 "진리는 가르칠 수 없다"는 점일 텐데 그러한 헤세의 의지가 싯타르타에게 속세의 삶을 선물해 완성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결국 경험 없는 지식과 가르침을 경계한다고 말이죠.
네 맞습니다.
책에 코를 쳐 박는다고 진리가 보이겠습니까?
깨달은 자의 가르침을 듣고 또 듣는다고 해서 그 깨달음이 얻어지겠습니까?
판매처